분류 전체보기

· Vue.js
[등장 배경] provide와 inject는 부모 컴포넌트와 자식 컴포넌트 간 데이터를 전달할 때 사용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미 이러한 관계에서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법을 알고 있습니다... [Vue.js] 부모 컴포넌트 ↔ 자식 컴포넌트 데이터 전달 [들어가기 전에] 화면 작업을 하다 보면 레고 조립(?)하는 거 같다고 자주 느끼는데요...!ㅋㅋㅋㅋㅋ 레고와 같은 컴포넌트는 Vue에서 중요한 부분 중 하나입니다! 애플리케이션의 구조, 유지보수 eunsung-dev.tistory.com 바로 props와 emit을 사용하면 되는데요. 굳이 굳이 privode와 inject를 써야 할까요? props와 emit은 직접적인 부모-자식 관계에 적합한데, 관계가 중첩될수록 각 단계마다 데이터를 전달해야 하므로 ..
· iOS
[들어가기 전에] 아주 예전에 만들어보고 싶었던 프로젝트를 이제야 진행하는데요...!ㅋㅋㅋㅋ 해당 프로젝트의 기능 중 하나가 걸음 수를 측정하는 만보기 기능이 있습니다. 사용자의 걸음 수를 경험치를 환산해서 캐릭터를 키우는 앱을 계획하고 있어요. https://github.com/eunsung-dev/SeungMaGoChi GitHub - eunsung-dev/SeungMaGoChi Contribute to eunsung-dev/SeungMaGoChi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해당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2가지 방법이 있어요. 바로 HealthKit과 CoreMotion이죠. 저는 걸음 수 측정을 실시간으로 할 것인지 혹은 정해진..
· Vue.js
[mitt 라이브러리란?] 컴포넌트 간 관계가 부모/자식 관계라면 props와 emit을 사용하면 됩니다. 하지만 그 관계가 더 복잡하고 멀리 있다면 props와 emit을 반복해서 사용해야 할 것입니다. 이런 식으로 말이죠. 이러한 체인을 막기 위해 provide와 inject을 사용하면 되지만, 복잡하지 않다면..! mitt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됩니다. mitt는 작고 간단한 이벤트 버스로 컴포넌트 간 통신할 때 사용하는데 on, off, emit 3가지 메서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https://github.com/developit/mitt GitHub - developit/mitt: 🥊 Tiny 200 byte functional event emitter / pubsub. 🥊 Tiny 200 b..
· Vue.js
[.env 파일이란?] environment의 약자인 .env 파일은 환경 변수를 정의할 때 사용합니다. 프로젝트의 root에 .env 파일을 생성하여 애플리케이션의 구성을 제어하거나, 각 서버 환경(ex. 개발 서버, 운영 서버)에 맞게 동작하는 부분을 처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데요. 실제로 현재 프로젝트에서 .env 파일로 각 서버에 따라 다르게 동작하고 있습니다 😎 [어떻게 사용할까?] Key = Value 형식으로 환경 변수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VUE_APP_TITLE=My App VUE_APP_API_URL=https://my-api-url.com 정의한 환경 변수를 접근하기 위해서는 process.env.${이름}의 형태를 사용하면 됩니다! created() { console.log(pr..
eunex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5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