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 결과] 오늘 필기 합격자 조회가 가능해서 확인해 보니 합격이었어요! 사실 정보처리기사 필기는 CBT 형식이므로 시험 보는 당일 02.17(토)에 바로 확인할 수 있어서 합격 결과를 이미 알았지만요...! ㅋㅋㅋㅋㅋ [시험 준비] 설 연휴를 포함하여 일주일 동안 공부하였습니다! SQLD이든 ADsP이든 정보처리기사 필기이든 다 똑같은 문제은행식 시험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렇게 많은 시간을 투자하지 않았어요. 대략 순 공부량은 전공자 기준으로 20~25시간 하였습니다. 문제은행식 시험은 아래와 같은 순서가 국룰!이라고 생각합니다. SQLD, ADsP 모두 같은 방식으로 합격하였습니다. 정보처리기사 필기 요약본 기출문제 공부를 하면서 기존에 알고 있던 CS.. 예를 들어 ACID, 페이징 교체 알고리..
[프로토타입 기반 프로그래밍] 프로토타입 기반 프로그래밍 언어 중 대표적인 언어가 JavaScript입니다. 클래스 기반 프로그래밍 언어인 C++과 달리, 객체를 생성한 후에도 프로퍼티나 메서드를 동적으로 추가/수정이 가능합니다. 또한 프로토타입을 공유하고 있는 객체들은 서로 프로퍼티나 메서드를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메모리 절약을 할 수 있습니다. [프로토타입 알아보기] function 사람() { this.이름 = "silverCastle"; this.나이 = 27; } var 나 = new 사람(); function 키워드를 사용하여 prototype에 접근할 수 있는데 사람 = 부모 나 = 자식 prototype = 유전자 역할을 한다고 이해하면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의 유전자를 조회해 보..
[메모리 누수(Memory Leak)] 메모리 누수(Memory Leak)는 프로그램이 필요하지 않은 메모리를 계속해서 점유하고 있음을 의미해요. 계속 점유한다는 게 뭐가 문제냐!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크게 3가지 문제가 발생합니다. 📌 성능 저하 필요하지 않은 메모리를 점유하면 즉, 메모리 누수가 발생하면 available 한 메모리 공간이 점점 줄어듭니다. 메모리가 충분히 크다면 괜찮을지는 몰라도 메모리가 제한적인 환경에서는 비정상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자원 낭비 쓰지도 않는 메모리를 점유한다면 당연히 자원을 낭비하게 되겠죠?! 📌 안정성 저하 메모리 누수가 심각해지면 시스템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될 수 있으므로 최선의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필요하지 않은 메모리를..
[들어가기 전에] 아니 글쎄 블로그 쓰려고 AOS라는 단어를 찾아봤는데 비공식적인 명칭이더라고요,,, 특히 한국에서만 자주 쓰는 용어라고 해서 Android라고 적어봤습니다! 개발을 하다 보면 사용자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르게 작동하는 기능이 필요할 때가 있죠. 아이폰이면 앱 스토어로 이동, 갤럭시면 Google Play 스토어로 이동하는 것이 그 예시입니다. 물론 iOS, Android 둘 다 네이티브로 개발을 하면 상관은 없지만... 크로스 플랫폼이나 하이브리드 같은 경우에는 운영체제 구분을 해야 합니다. 그럴 때 User-Agent를 사용하면 됩니다! [User-Agent] 먼저 User-Agent가 뭔지 콘솔로 찍어볼게요. 음... 뭔가 Window 10 운영체제에서 Chrome 브라우저를 사용하고..